시스템트레이딩으로 운용되는 SysFund 운용실적 입니다. 금일 코스피, 코스닥 양 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을 하였습니다. 코스피는 27.80포인트 하락한 -1.16%, 코스닥의 경우 25.99포인트를 하락하여 무려 -3.0%의 하락폭을 보였습니다. 미중 무역갈등과, 강달러에 의한 하락이라고는 하지만, 주식에서의 결론은 언제나 만들어내기 나름입니다. 표면적인 이유는 결고 진짜 이유가 될 수는 없습니다. 금일 루트로닉이라는 종목을 신규 진입하였습니다. 장이 좋지 않았던 관계로 진입하자마자 바로 -3%를 찍어버리네요. 구분 종목 현재가(청산가) 수익률(%) 비중(%) 보유기간 보유 유화증권 14,600 -7.18 20.68 139 보유 현대위아 46,000 -16.83 18.86 76 보유 현대리바트 24,4..
2018년이 시작된지 얼마 된거 같지 않지만 벌써 6월이 시작되었습니다. 날씨 또한 여름에 점점 다가가고 있는것이 물씬 느껴집니다. 6월 주식시장 전망을 이 시점에서 한번 가볍게 예상해 보겠습니다. 이쯤에서 다시한번 2017년 말에 정리한 2018년 주식전망과, 2018년 코스피를 기준으로한 하반기 주식시장 전망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2018년 주식시장 전망(2017.12.31)
올 초 코스닥 과열에 대한 포스팅을 2회 실시한적이 있습니다. 코스닥 가즈아!?
2017년 주식시장을 결산하고 2018년 전망을 한지 얼마 되지 않은것 같지만, 벌써 5월도 하반기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작년 마지막날인 12월 31일날 쓴 포스팅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2017년 주식시장 결산 및 2018년 전망 이격도가 평균 이하로 내려갔으면 반드시 상승을 하였고, 어느정도 정점을 찍으면 반드시 내려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래저래 비슷한 패턴을 찾아본 결과 현재의 지점과 2006년 9월 당시와 가장 비슷하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다른 구간도 비슷한 패턴을 보이고 있습니다만, 다른구간에서 평균 이하의 저점구간의 특징은 장기간의 하락후 발생했다는 다른점이 있습니다. 현재는 엄청난 급락이 없이 현 주가를 비교적 꾸준히 유지하면서, 편차를 줄여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딱 2009년 ..
앞선 포스팅에서 (저가+고가)/2 < 종가 의 기준을 적용했을때 다음날 갭상승할 확률이 코스닥의 경우 무려 86.18%인 것을 확인한 바 있습니다. 흥미로운 백테스팅 결과(2)
평창 올림픽을 전후로 해서 남북 해빙기가 본격적으로 도래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북미 대화를 성사시키기 위해 한국, 북한, 미국이 물밑협상을 하고 있으며, 기선제압을 위해 이런저런 잡음이 나는 것도 사실입니다. 만약에 통일이 된다면 어떤 주식이 가장 큰 상승폭을 보일까요? 통일을 준비한다면 어떤 주식을 보유하고 준비해야 할까요? 바로 건설주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통일이 된다는것은 내수경제가 폭발적으로 성장한다는 뜻이며, 대한민국보다 많이 낙후된 북한을 개발하는것이 그 신호탄이 될 것입니다. 대한민국에는 수많은 건설 상장회사가 있습니다. 이중 어떤 회사를 선택할지는 개개인의 성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개별주보다는 건설 ETF를 적극적으로 추천합니다. 유동성이 풍부한 KODEX건설 ETF를 기준으로 한번 ..
2018년 2월 초를 시작으로 하여, 코스피 및 코스닥 지수가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향후 코스피 전망을 살펴보면서, 현재의 조정이 추가상승을 위한 에너지 비축기간인지, 아니면 하락으로의 추세변환 시점인지 한번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주식하는 사람들이 늘 듣는 이야기지만, 주식은 예측이 아니라 대응 이라고 말을 많이 합니다. 물론 틀린 말은 아닙니다. 주식을 예측만 할 수 있으면, 세상의 모든 돈을 다 쓸어담을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예측을 해야, 기준을 정립할 수 있고, 대응을 할 수있습니다. "예측이 아니라 대응"이란 말은 말 자체만으로도 어느정도 모순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죠. 그 예측이 틀리던 맞던 예측을 함으로써 대응의 기준이 잡히는 것이고, 대응만 있을 경우 정작 이벤트가 발생 했을..
코스닥 과열에 대한 포스팅을 2018년 1월 28일날 하였습니다. 바로가기(링크) 아래 차트는 코스닥 지수의 등락폭을 표현한 것입니다. 점점 변동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영원히 커지는 변동성은 없는 만큼 곧 그 폭을 줄여나갈것으로 생각합니다.
코스닥의 열기가 매우 뜨겁습니다. 작년 8월, 정확하게는 2017년 8월 29일 코스피 지수의 상승폭 둔화를 예측하고, 코스닥에 대한 관심을 높여야 할때라고 포스팅을 하였습니다 바로가기 (링크) 작년 8월 29일 당시 코스피 지수는 2364.74 포인으로 현재 2574.76포인트보다 210.02 포인트 상승하여 8%의 상승률을 보였으며, 코스닥 지수는 653.96에서 913.12포인트로 259.16 포인트 상승하여 무려 39.6%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현재 코스닥 지수의 일봉 차트입니다. 해당 지점에서 지수레버리지 ETF에 투자를 했으면 큰 수익을 보았을 것입니다. 저 당시에 코스닥 지수의 상승을 예상했던 이유는 제가 주로 보는 이격도 지수의 편차값이 평균 이하였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면 이격도 지수의 ..
다사다난이란 사자성어가 딱 어울리는 2017년이 마무리되어 갑니다. 대통령 탄핵사건부터 시작하여 장미대선, 금리인상, 박스피 탈출, 북한의 잦은 도발, 가상화폐 시장의 폭주 등 여러 일이 발생한 한해였습니다. 2017년은 코스피, 코스닥 상승장 이었습니다. 먼저 차트를 보면서 확인을 해보겠습니다 코스피 차트 코스닥 차트 여지없는 상승의 흐름입니다. 코스피 1년의 일 종가를 평균해보면, 2300.334로 산정됩니다. 코스닥 1년의 일 종가를 평균해보면 658.801로 나옵니다. 각각 167.156포인트, 139.619포인트 평균보다 높은 곳에 있습니다. 시계열 자료 분석에 있어서 평균은 매우 중요한 값입니다. 즉 추세의 방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대푯값입니다. 이 흐름이 평균에서 벗어난 일시적인 흐름인지,..
아주 아주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코스피 지수는 확실한 조정 장세에 진입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올 초부터 있었던 상승률을 현 시점부터 다시 보여주기란 힘들 거라 여겨집니다. 이제부터는 코스닥을 좀 관심을 가져봐야 하는 기간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일단 제가 중요하게 보는 지수는 이격도 지수입니다. 쉽게 말해 주가/각 기간별 이동평균값입니다. 즉 각 이동평균 값에서 해당 현 주가의 위치를 보여주기 때문에 일정 범위 내에서 반복되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즉 내려가는것에도 한계가 있고, 올라가는것에도 한계가 있는 지표를 가장 확실하게 보여주는 차트라고 생각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코스닥 지수는 바닥을 다지고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현 시점에서 이격도가 가장 밀집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즉 무언가..
현재 코스피 지수가 올해 초부터 꾸준한 상승을 보이다가 잠시 주춤해진 모습입니다. 현 시점을 기준으로 다시 상승추세를 이어갈지, 아니면 하락 반전할지, 투자자들 모두가 촉각을 세우고 있습니다. 그럼 과거의 간단한 통계를 기준으로 하여 코스피 지수의 현재 위치를 산정해 보겠습니다. 약 4년 정도의 과거 기록을 바탕으로 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습니다. 먼저 코스피지수 차트입니다. 올 초부터 가파른 상승을 보이다가 잠시 조정국면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것이 정말 대세 상승을 위한 숨 고르기일지, 아니면 내리막길의 시작일지, 과거의 기록을 통해 추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가장 주의 깊게 관찰하는 차트는 종가를 각 이동평균선 으로 나눈 차트입니다. 즉 평균에 가까워질수록 1에 수렴하게 됩니다. 즉 모든 값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