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랫만에 전체적인 시장뷰를 기본적인 통계지표를 통해 시각화 해보려고 합니다. 분석 대상은 개인투자자들의 비율이 압도적인 시장인 바로 코스닥 입니다. 작년 5월 말경에 코스닥에 과열에 대한 포스팅을 한 적이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통해 해당 포스팅을 읽고 오면 이해가 쉬울 것입니다. 2018/05/21 - [Investment Strategy] - 2018 하반기 코스닥 전망 분명 코스닥 과열에 대한 포스팅을 하였었고, 그 이후 시장이 큰 폭으로 하락을 했습니다. 그 전에도 2차례 코스닥에 관한 포스팅을 하였으며 조심성이 필요한 시장이라고 언급을 하였구요. 해당 글을 유명한 주식투자 카페에 공유를 했다가 엄청난 비난 댓글이 달렸던 기억이 납니다. "자~~ 거봐라~~ 난 똑바로 예측을 했으니 이제 SysF..
2019년 후반기 들어 첫 운용실적 입니다.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그 어느때보다 커지고 있습니다.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SysFund의 수익잔고의 변동성이 그 어느때 보다 커진 상태입니다. 너무 심각한 예측은 하지 않지만, 시장에는 어느정도 싸이클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Index적인 뷰를 보았을때는 현재 한국 주식시장에 진입하기 나쁜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코스피지수와 SysFund 수익곡선의 그래프 입니다. 지난달인 6월 부터 현재까지의 수익이 들쑥날쑥 편차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코스피 지수의 경우 상승흐름을 일부 반등을 하였지만 아직 주춤주춤하고 있는 것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시장의 방향성이 보이는 순간이 이미 한참 지난 후 였음을 경험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이런 저런 개인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