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초부터 계속 상승중이던 코스피가, 지정학적 리스크와 상승의 피로감이라는 이유로 주춤 하고 있습니다. 단순한 통계를 바탕으로 단순하게 시장을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저는 시스템트레이더로, 시계열 자료로 종목을 분석하고, 진입포인트, 손절포인트, 청산포인트를 산정합니다. 따라서 오로지 차트로 분석한것임을 감안해 주시기 바랍니다 저는 이격도 지수 차트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이격도차트는 현재주가/이평선 즉, 현재 주가를 이평선으로 나눈 값 입니다. 즉, 단위기간인 이동평균선 기간동안 현재 주가가 어느위치에 와 있는지를 보여주는 값 입니다. 이 이격도 차트의 특징은 한없이 떨어지지도 않고 그렇다고 한없이 오르지도 않는 값을 정확하게 보여주는 차트입니다. 이동평균선의 특징을 잘 고려해보시면 이..
현재 코스피 지수가 올해 초부터 꾸준한 상승을 보이다가 잠시 주춤해진 모습입니다. 현 시점을 기준으로 다시 상승추세를 이어갈지, 아니면 하락 반전할지, 투자자들 모두가 촉각을 세우고 있습니다. 그럼 과거의 간단한 통계를 기준으로 하여 코스피 지수의 현재 위치를 산정해 보겠습니다. 약 4년 정도의 과거 기록을 바탕으로 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습니다. 먼저 코스피지수 차트입니다. 올 초부터 가파른 상승을 보이다가 잠시 조정국면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것이 정말 대세 상승을 위한 숨 고르기일지, 아니면 내리막길의 시작일지, 과거의 기록을 통해 추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가장 주의 깊게 관찰하는 차트는 종가를 각 이동평균선 으로 나눈 차트입니다. 즉 평균에 가까워질수록 1에 수렴하게 됩니다. 즉 모든 값은 ..
코스피 지수가 연일 최고점을 경신하며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습니다. 과연 주식시장의 대세 상승기가 시작된 것일까요? 먼저 코스피 지수의 상승 원인을 알아보면 대형주의 움직임이 전체적인 지수의 상승을 이끌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하이닉스 등의 시가총액이 큰 대형주들이 상승을 하여 지수가 연일 전고점을 경신하고 있지만, 개인투자가들이 주로 분포해있는 코스닥 시장은 그리 큰 수익을 보지는 못하고 있는 장세 입니다. 약 3년간의 코스피 및 코스닥 지수의 변화입니다. 일반적으로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가 역행하는 경우는 그리 많지도 았았으며, 역행을 한다 해도 그 기간이 길지 않았습니다. 상관관계를 분석해보면 시기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0.7 이상의 높은 상관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곧 코스피 지수의 상은은 코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