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가+고가)/2 < 종가 의 공식을 사용하여 그 다음날 종가와의 상관성을 확인하는 포스팅 한 결과 코스피의 경우 50% 코스닥의 경우 57.24%의 상승확률을 확인하였습니다. 흥미로운 백테스팅 결과(1)
주식은 늘 변동성과 함께 가기 때문에 변동성의 기준점인 변곡점을 찾기 위해 투자자들은 무수히 많은 노력을 합니다. 주가의 변동폭의 평균과 그날 종가와 비교를 해서 다음날 주가를 예측해보곤 했습니다만, 이걸 한번 검증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기간은 상승장과 하락장을 대채적으로 포함 할 수 있을거라 생각되는 5년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저가+고가)/2 < 종가 위의 공식과 같이 하루를 마감하였을 경우 다음날의 주식이 전날 종가보다 상승할 확률이 높다는 가정에 의한 투자법 입니다. 즉, 변곡점은 저가과 고가의 평균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거란 가정을 하고, 당일 종가가 평균보다 높으면, 추세의 상승이 살아있다고 판단을 하고, 그 다음날에도 이 상승이 유지 될 수 있을거란 논리에 의한 투자법 입니다. 먼저 코스피 ..
증시가 방향성을 상실하고 계속 갈팡질팡 하고 있습니다. 하루는 하락했다, 그 다음날은 반복하고,, 이런 상황을 계속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코스닥에 시장의 방향성을 한번 고민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코스닥은 작년말 부터 급격히 상승하여 한때 932.21포인트까지 상승한후 현재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그럼 현 시장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코스닥 지수의 4년간의 차트 입니다. 붉은색 점선의 경우 4년 동안의 코스닥 지수 종가의 평균입니다. 평균값은 648.26이며 현재 주가지수보다 217.54 포인트 낮은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무작정 평균보다 높으면 고평가고, 낮으면 저평가는 아닐 것입니다. 여기서 코스피의 전망을 예측한 포스팅을 확인해 보면, 평균보다는 이격도 지수의 ..
코스닥 과열에 대한 포스팅을 2018년 1월 28일날 하였습니다. 바로가기(링크) 아래 차트는 코스닥 지수의 등락폭을 표현한 것입니다. 점점 변동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영원히 커지는 변동성은 없는 만큼 곧 그 폭을 줄여나갈것으로 생각합니다.
코스닥의 열기가 매우 뜨겁습니다. 작년 8월, 정확하게는 2017년 8월 29일 코스피 지수의 상승폭 둔화를 예측하고, 코스닥에 대한 관심을 높여야 할때라고 포스팅을 하였습니다 바로가기 (링크) 작년 8월 29일 당시 코스피 지수는 2364.74 포인으로 현재 2574.76포인트보다 210.02 포인트 상승하여 8%의 상승률을 보였으며, 코스닥 지수는 653.96에서 913.12포인트로 259.16 포인트 상승하여 무려 39.6%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현재 코스닥 지수의 일봉 차트입니다. 해당 지점에서 지수레버리지 ETF에 투자를 했으면 큰 수익을 보았을 것입니다. 저 당시에 코스닥 지수의 상승을 예상했던 이유는 제가 주로 보는 이격도 지수의 편차값이 평균 이하였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면 이격도 지수의 ..
아주 아주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코스피 지수는 확실한 조정 장세에 진입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올 초부터 있었던 상승률을 현 시점부터 다시 보여주기란 힘들 거라 여겨집니다. 이제부터는 코스닥을 좀 관심을 가져봐야 하는 기간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일단 제가 중요하게 보는 지수는 이격도 지수입니다. 쉽게 말해 주가/각 기간별 이동평균값입니다. 즉 각 이동평균 값에서 해당 현 주가의 위치를 보여주기 때문에 일정 범위 내에서 반복되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즉 내려가는것에도 한계가 있고, 올라가는것에도 한계가 있는 지표를 가장 확실하게 보여주는 차트라고 생각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코스닥 지수는 바닥을 다지고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현 시점에서 이격도가 가장 밀집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즉 무언가..
코스피 지수가 연일 최고점을 경신하며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습니다. 과연 주식시장의 대세 상승기가 시작된 것일까요? 먼저 코스피 지수의 상승 원인을 알아보면 대형주의 움직임이 전체적인 지수의 상승을 이끌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하이닉스 등의 시가총액이 큰 대형주들이 상승을 하여 지수가 연일 전고점을 경신하고 있지만, 개인투자가들이 주로 분포해있는 코스닥 시장은 그리 큰 수익을 보지는 못하고 있는 장세 입니다. 약 3년간의 코스피 및 코스닥 지수의 변화입니다. 일반적으로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가 역행하는 경우는 그리 많지도 았았으며, 역행을 한다 해도 그 기간이 길지 않았습니다. 상관관계를 분석해보면 시기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0.7 이상의 높은 상관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곧 코스피 지수의 상은은 코스..
“코스닥 기업사냥꾼의 악랄한 수법을 밝힌다!” 22년 금융전문가가 말하는, 작전으로부터 내 돈을 지키는 법! 연일 코스닥 시장이 셀트리온 사태로 뜨겁다. 코스닥 시가 총액 1위의 기업이 작전세력(공매도 세력)에 휘둘린다는 것이다. 코스닥을 대표하는 우량기업이 하루아침에 주가가 곤두박질 친 원인은 무엇인가? 코스닥 상장기업의 운명을 좌지우지 하려는 작전세력의 실체는 무엇인가? 이 책 《코스닥 X파일》은 코스닥 투자자라면 누구나 의문을 가졌을법한 주가조작 사건의 전말을 폭로하고, 피해를 보지 않기 위해 무엇을 조심해야 하는 가를 실제 사례 추적을 통해 파헤쳐주는 책이다. 책 속에는 기업사냥꾼들이 어떻게 자금을 동원하고 상장 기업을 인수 한 뒤 다시 팔아넘기는지 또 돈만 챙기고 교묘하게 빠져나가는지, 그 악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