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테이블 코인이란? 스테이블 코인이란(stable coin)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 하기 위하 설계된 암호화폐를 말한다. 즉, 법정화폐와 1:1로 가치가 고정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1코인이 1달러, 혹은1유로 등의 가치를 같도록 설계된다. 대표적인 스테이블 코인은 테더(Teeher, USDT)이 있으며 이번에 가상화폐 시장에 큰 충격을 주었던 테라 코인 역시 스테이블 코인이다. 2. 무엇이 스테이블 코인의 가치를 유지시키는가? 스테이블코인의 가치를 유지하는 가장 일반적이고 상식적인 방법은 고정된 통화의 자산을 1:1로 보유하고 있는 것이다. 즉 1스테이블코인당 1법정 화폐를 그대로 보유하고 있다면 사실상 스테이블 코인은 해당통화의 교환증으로 작용하는 것이며 이는 담보의 실체가 있기 때문에 스테이블 코..
예전보다는 많이 잠잠해 졌지만, 비트코인은 아직까지도 많은 논쟁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얼마전 정부에서는 비트코인에 대한 과세 방침을 정하고 내년 세법 개정안에 구체적인 과세 방안을 담을 예정이라고 합니다. 비트코인을 화폐가 아니고 자산이 아니라고 그렇게 규제를 하더니, 결국에는 세계적인 흐름에 뒤늦게 동참하려는 시늉을 보이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의 과세가 뜻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객관적으로 그리고 법률적으로 비트코인을 자산으로 인정을 할 수밖에 없다는 뜻이 됩니다. 비트코인을 편협적으로 보지 말고, 시야를 넓혀서 한번 생각해 보길 바랍니다. 코인자체에 대한 비하 또는 비난하는 의견이 지배적인 대한민국이지만, 확실한 사실은 비트코인의 영향력이 점점 커져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 시간에도 비트코인 AT..
황금알을 낳는 거위 이야기는 많이 아실겁니다. 현대에도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있습니다. 바로 화폐 입니다. 우리는 국가에서 정해진 화폐를 가치의 저장수단 및 교환수단으로 사용 하고 있습니다. 화폐란 공공의 절대적인 믿음으로 가치가 유지됩니다. 그러한 이유로 일반적으로 화폐는 국가에서 엄격히 통제 하고 있습니다. 잘 생각해 보면, 화폐 자체가 사실 사기에 가깝긴 합니다. 인간의 노동력 자체가 가치 발생의 원천이 됩니다. 이를 딱 국가가 정해서 단위로 환산시키고 사용을 강제한 것이 화폐이기 때문이지요. 화폐가 통용되는 범위 내에서는 그 가치를 정확하게 측정할수 있고 보존할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그런 가치를 가지는 화폐를 이론상으로 국가가 무한대로 찍어 낼 수 있다는데 있습니다. 게다가 자본주의 시스템에서는..
" 왜 그들만 부자가 되는가?" 책 제목이 매우 자극적 입니다. 많은 책들이 자극적은 제목으로 독자를 유혹하지만, 실상 내용을 읽어보면 제목과는 많이 동떨어진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이 책은 책 제목만큼이나 강렬하고, 강력하고, 현실적인 내용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왜 그들만 부자가 될까요? 이 책에서는 우리가 현재 쓰고 있는 "명목화폐"에서 그 문제점을 찾고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그들은 1. 국가 2. 기업 3. 자본가 입니다. 국가는 화폐 발행권을 독점하여, 노동의 가치를 떨어뜨리며, 기업과 자본가는 "명목화폐" 흔히 즉 가치가 없는 종이쪼가리를 노동자에게 제공하여 그들의 부를 매우 규칙적이고, 체계적으로 강탈해 갑니다. 이 책에서는 서민을 "식탁의 맨 마지막에 앉은 사람" 으로 표현을 합니다..
가상화폐에 대한 관심이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아니! 커지는 정도가 아니라 온 나라를 휩쓸고 있네요. 얼마전 "그것이 알고싶다"에서도 가상화폐에 대한 내용을 방영했으니 말입니다. 예전에 비트코인에 대한 포스팅을 한 적이 있습니다만, 결론은 부정적이었습니다. 국가에서 국민을 효율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수단인 "통화발행권" 자체를 부정하는 비트코인이 이처럼 전 지구적인 이슈를 발생시킬 것이라고는 생각도 하지 못했습니다. 특히나 "블록체인"이라는 이 기술이 화폐 자체를 뒤흔들줄은... 투자에 있어서 유의해야 할 점 중의 하나가 고정관념이라고 생각을 하고 있으면서도,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화폐를 받아들이기엔 스스로가 많이 부족하지 않았나 생각해봅니다. 정부에서 이래저래 규제를 내놓고 있지만, 이 "블록체인"기술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