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분포와 인생의 흐름 정규분포란 특정 변수가 무작위로 가질 수 있는 실제 값에 관한 분포를 기술하는 방법으로 흔히 좌우 대칭형의 종 모양으로 분포를 합니다. 표본들의 편차가 클수록 종은 넓어지고 편차가 작을수록 좁고 뾰족한 모양이 됩니다. 대부분의 경우는 종의 중심부분에서 사건이 발생합니다. 다만 아주 드문 경우로 영역의 바깥에서 이벤트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분명 예외의 상황이 통계적으로 발생하기는 합니다. 즉 이러한 무작위성 내에서 특정 패턴을 보이기도 하지만, 아주 드물고 희귀한 이벤트 역시 발생은 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이러한 드물고 희귀한 경우가 좋은 결과로 나타날때는 행운이라고 부릅니다. 즉, 행운을 많이 잡으려면 무수한 시도를 해보는 수 밖에는 없습니다. 농구에서 득점을 많이 하려면 ..
예전보다 비교적 일반화된 단어이지만 금융공학 및 통계적인 용어로 "블랙스완"이란 단어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거의 없는 이벤트가 돌발적으로 발생하였을때 주로 쓰는 단어입니다.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블랙스완은 검은 백조 입니다. 백조는 단어 그대로 흰 새를 말하는데, 검은색의 백조(?) 가 발견되어 기존의 통념을 한번에 뒤집어 엎은 사건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개념으로 즐겨 사용되는 단어가 바로 블랙스완 입니다. (검은 색 백조 : Black Swan) 911테러, 브렉시트, 메르스 사태, 이번의 코로나 바이러스 창궐 같은 경우 그 누구도 정확하게 예측했던 상황이 아니며, 이는 금융시장에서 "비정상적인" 충격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그러면 이처럼 정상과 비정상을 구분짓는 기준은 대..
1. 볼린저 밴드의 정의 볼린저 밴드란 주가의 변동폭을 일정 범위로 가정하고 그것을 상단밴드, 하단밴드로 구분하여 표기하는 방법의 하나입니다. 2. 볼린저 밴드의 필요성 볼린저 밴드는 현재의 주가의 상대적인 위치를 확인하고자 할 때 쓸 수 있습니다. 즉 상단밴드에 주가가 가까이 있으면 고평가가 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하단밴드에 가까울수록 저평가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볼린저 밴드의 원리 볼린저 밴드는 정규분포의 원리에 의하여 범위를 규정합니다. 일반적으로 20일 이동평균선과, 20일 표준편차로 상단밴드와 하단 밴드를 구분합니다. 상단 : 이동평균주가+(2표준편차) 하단 : 이동평균주가-(2표준편차) 볼린저 밴드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규분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아래의 이미지가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