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무엇이 가장 어렵냐고 묻는다면, 저는 "사소한 일이라도 꾸준히 끊이지 않고 하는 것" 이라고 말할것 같습니다. 정기적으로 시스템트레이딩을 통한 주식투자 운용실적을 올리겠다는 다짐을 했지만, 이런저런 핑계로 결국엔 두달이 가까이 지나서야 실적을 올리고 있습니다. 실적은 오랫만에 올리지만, 그간의 하락장에도 꾸준히 원칙대로 투자는 지속하고 있었습니다. 아직 2021년이 다 마무리되지 않았지만, 성탄절과, 연말의 각종 공사다망한 행사를 핑계로 올해 실적을 정리 못할 수도 있을것 같다는 예감이 들어, 2021년 결산을 해 보았습니다. 올해 2021년 부분만 별도로 추려서 차트로 정리한 자료입니다. 로직의 특성상 하락할때 투자금이 크게 들어가기 때문에 올해 초 보다는 투자금이 크게 늘었습니다. 하지만 수..
If you look at investment-related articles or videos, you can see many cases where you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eed money. In a small way, investment should be made after securing seed money ranging from 10 million won to as much as 100 million won. I absolutely disagree with this opinion! Of course, it's not that seed money is meaningless. It is important to secure seed money. You can't sta..
모든 일에는 시작이 있으면 끝도 있습니다. 주식투자로 한정해서 생각을 해보면, 시작은 누구나 할수 있지만 끝의 결과는 전부 제각각입니다. 같은 종목을 투자해도 누구는 큰 수익으로 끝을 맺고, 누구는 손실로 마무리를 합니다. 이처럼 주식투자는 시작보다는 끝이 훨씬 중요한 게임입니다. 미래를 정확하게 내다보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투자라는 것이 현 시점에서 미래에 대한 예측을 가늠해 보는 것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다만 내가 미래를 예측한다고 해서 예측대로 미래가 흘러갈 확률이 높아지는 것은 더더욱 아닙니다. 현 시점에서는 예측을 하든, 그렇지 않든 다가올 미래는 내가 한 예측과는 아무 상관이 없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아무 대비없이 투자를 하는것은 너무 많은 리스크를 동반하게 됩니다. 평화로울때 평화에 취..
이런 저런 대한민국 경제에 적신호가 들어오다보니, 안전자산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졌습니다. 환율이 급등했을때 달러사재기에 관한 뉴스도 나왔고, 현재는 많은 분들이 금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금을 매수해야 할 시기인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금은 고대로 부터 "돈"으로 여겨지며 현재에도 최종적인 결재수단으로 사용됩니다. 진짜 "돈"이 바로 금이지요. 위기시에 금에 대한 수요가 몰리는 것은 당연해 보입니다. 금은 보관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사실 일개 개인이 금고를 두고 금을 보관하는 것은 쉬운일이 아닙니다. 도난의 우려도 있고, 금 실물은 세금이 붙기 때문에 사자마자 손해로 시작을 해야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금을 간접적으로 보유하고, 그 효과를 보기위해서는 ETF를 활용하는 방법이 ..
분산투자, 태초의 지구. 전혀 관련없는 내용으로 한번 분산투자에 대해 생각해 보겠습니다. 태초의 지구, 과연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영화 프로메테우스를 보면 태초의 지구 생명의 근원을 엔지니어로 가정하여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인간이랑 매우 흡사하게 생긴 근육질의 엔지니어가 자기 몸을 희생시켜 지구에 생명의 씨앗을 뿌립니다. 물론 영화의 한 장면이지만, 지구의 배경은 실제로 저 위의 사진과 크게 다르지 않았던 시절이 분명 있었습니다. 자 그럼 이제 현재의 지구와 한번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외계인의 입장에서 지구의 핵심지역 1곳을 선택하라면, 아마도 뉴욕을 지목하지 않을까요? 삭막한 지구에서 인류가 만들어낸 엄청난 부가가치의 현장을 사진 두장으로 비교하며 보고 있습니다. 지구 전체를 봐도, 인류가 나타..
약 10년 전 워렌 버핏은 헤지펀드에게 내기를 제안했습니다. 내용인 즉 "10년 동안 S&P 500 인덱스보다 높은 수익을 내는 펀드가 있으면 50만 달러를 준다!" 는 제안이었습니다. (훗날 내기 금액이 100만달러로 늘어나게 됩니다.) 위의 내기에 프로티지 파트너스의 설립자인 테스 사이즈가 응하면서 내기는 성립되었고 결국 워렌 버핏의 승리로 결과는 끝났습니다. 워렌버핏이 투자한 S&P 인덱스펀드는 연간 7.1%의 수익을 보였으며, 테드 사이즈가 고른 헤지펀드의 누적 수익률은 2.2%에 불과하여 워렌 버핏의 압승으로 끝났습니다. 엄청난 자금력과, 분석력으로 무장한 해지펀드 역시 시장의 흐름을 이기는 투자는 어려웠나 봅니다. 투자의 방법을 몰라서 투자를 못하는게 맞는것일까요? 어렸을때 명문대 수석입학자들..
ETF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고, 일부 자산이 ETF에 투입되어 있긴 합니다만, 제대로 된 책을 구매하여 읽어본것은 이책이 처음입니다. 그간 systrader79님의 블로그나 카페를 자주 방문하여 투자에 관한 전략도 많이 읽어보고 "주식투자 리스타트"란 책을 읽고 많은 배움을 얻기도 했기에, 신간이 나와서 바로 구매해서 읽어보았습니다. 사실 제가 나름대로 정량적인 법칙을 세워 투자하는데 가장 큰 기준이 된 책은 "주식투자 리스타트"란 책이었습니다. 도서관에서 우연히 집어들게 된 책입니다. 그간 책을 읽고 나름의 전략을 수립하여 지금은 고급수준은 아니지만, 나름 계량투자를 하고 있고 조금씩 전략이 나아지고는 있습니다. 일단은 이책을 꼭 읽어보라고 추천하고 싶습니다. 투자에 있어서 수익보다는 손실을 관리하..
ETF(Exchange Traded Funds), 상장지수 펀드에 대해 알아봅시다 ETF는 인덱스 펀드와 뮤추얼 펀드를 결합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덱스 펀드란 주가지표와 연동되는 펀드를 말하며, 뮤추얼 펀드란 주식을 발행하여 투자자를 모집하고 운용수익을 배당금 형태로 배분하는 펀드를 말합니다. ETF의 장점은 1. 저럼하다.(매도시 거래세 없음) 2. 분산투자 가능(1종목의 ETF 만 사도 해당 섹터의 우량회사에 골고루 분산토자하는 효과) 3. 종목선정이 쉽다.(개별종목의 경우 회사의 기본 재무등을 확인하여 회사의 안전성을 확인해야 하지만 ETF의 경우 우량회사에 투자하며, 상황에 따라 자동적으로 회사를 조정) 4. 실시간 거래 가능. (주식 개별종목처럼 실시간 거래 가능) 다양한 장점이 있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