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이란 무엇인가? 2008년, 익명의 「사토시 나카모토」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비트코인이라는 디지털 화폐의 구현을 설명하는 백서를 게시했습니다. 10년이 훌쩍 지난 지금, 수백개의 암호화폐와 수많은 블록체인 기술 어플리케이션을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의 부상은 금융의 많은 전통적인 기능에 실존적 위협을 가하고 있습니다. 암호화폐는 P2P 메커니즘을 채택하여 금융기관과 같은 「중재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합니다. 예를들어 암호화폐 세계에서 거래하는 데 은행 계좌나 신용카드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암호화폐 지갑은 은행 금고와 같은 기능을 합니다. 스마트폰과 인터넷만 있으면 20억명 이상의 인구가 은행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금융 포용의 혁명을 일으킬 수 잇는 잠재력이 존재합니..
드디어 내년부터 코인, 즉 가상화폐에 대한 과세를 확정지었습니다. 당정청은 2022년 1월 1일부터 예정대로 과세를 하기로 합의를 하였는데요. 일부 국회의원들이 과세 유예 법률 개정안을 발의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가상화폐를 자산으로 인정하지는 않으면서 세금은 징수하겠다는 이중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입니다. 최근의 거래소 규제는 이러한 세금을 효율적으로 징수하기 위해 소수의 거래소를 제외하고는 원화거래를 제한 한 것으로 생각 할 수 있습니다. 조금만 블록체인에 대해 이해도가 있다면 현 정부의 정책이 얼마나 현실성이 떨어지는 정책인지 잘 알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은(가상화폐를 대표해서 비트코인이란 용어를 섞어 사용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P2P거래 시스템이 입니다. 중개소, 혹은 중재기..
결국에 현 정부에서 가상화폐 즉 코인에 대한 과세 유예는 없으며, 내년 1월부터 시행하겠다는 결론을 내린것 같습니다. 자산으로는 인정하지 않으면세 수익이 나면 세금을 내라는 모순되는 기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향후 가상화폐에 대한 영향은 어떻게 미칠수 있을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국내의 정책변화로 인하여 가상화폐 시세는 아무 영향이 없다!" 입니다. 물론 국내에서 제작된 김치코인이야 영향이 막대하겠지만, 메이져 코인들(비트코인, 라이트코인, 이더리움)은 전 지구적인 시장을 가지고 있고, 언제든지 자유자재로 각 코인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국내정책으로 인한 시세변동은 아예 없다고 보는것이 맞습니다. 국내 위정자들이 정말 오판하고 있는 것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거래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