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착왜구 뜻, 토착왜구는 무엇을 말하는가? 요즘 정치권에서 토착왜구란 단어가 심심찮게 들리고 있습니다. 왜구라는 뜻이 역사적으로 좋은 이미지는 아닌 만큼 토착왜구 역시 그리 긍정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님을 눈치 채셨을거라 봅니다. 토착이란 사전적인 의미로 "대대로 그 땅에서 살고 있음"을 말합니다. 왜구란 13~16세기에 우리나라와 중국 해안에서 약탈을 하던 일본 해적을 말합니다. 지금은 21세기 이니 왜구란 단어가 해적을 뜻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일본인을 비하하는 표현으로 쓰인 것이지요. 우리가 일본인을 비하할때 "쪽바리"란 용어를 사용하고, 일본인이 한국인을 비하할때 "조센징"이라고 쓰는것과 비슷하게 상대방을 깔보고 무시하는 용도로 쓰이는 단어가 "왜구" 입니다. 그럼 토착왜구는 어떤 뜻으로 쓰인 것..
서울시 청년수당과 청년 구직활동 지원금의 차이점 좀처럼 고용지표가 개선되지 않아 취업에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을 위해 각종 수당 및 지원금 제도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서울시 청년수당과 청년 구직활동 지원금의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청년 구직활동지원금의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면 아래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2019/03/22 - [etc.] - 청년 구직활동지원금 자격조건, 신청방법 일목요연하게 알려드립니다. 1. 지원대상 먼저 서울시 청년수당의 지원대상을 살펴보겠습니다. 지원대상 : 만19~34세(1984년 3월생~2000년 3월생), 서울시 거주(주민등록 기준 서울시 내 거주자, 2019년 3월15일 기준) 미취업자(졸업, 중퇴, 제적, 수료) 중 2년 경과자, 고용보험 미가입..
황금알을 낳는 거위 이야기는 많이 아실겁니다. 현대에도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있습니다. 바로 화폐 입니다. 우리는 국가에서 정해진 화폐를 가치의 저장수단 및 교환수단으로 사용 하고 있습니다. 화폐란 공공의 절대적인 믿음으로 가치가 유지됩니다. 그러한 이유로 일반적으로 화폐는 국가에서 엄격히 통제 하고 있습니다. 잘 생각해 보면, 화폐 자체가 사실 사기에 가깝긴 합니다. 인간의 노동력 자체가 가치 발생의 원천이 됩니다. 이를 딱 국가가 정해서 단위로 환산시키고 사용을 강제한 것이 화폐이기 때문이지요. 화폐가 통용되는 범위 내에서는 그 가치를 정확하게 측정할수 있고 보존할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그런 가치를 가지는 화폐를 이론상으로 국가가 무한대로 찍어 낼 수 있다는데 있습니다. 게다가 자본주의 시스템에서는..